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교통카드 없을 때 버스타는 방법 (서울 기준)

by 오!아시스 2025. 3. 17.
728x90

버스를 타려는데 교통카드가 없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행히도 서울에서는 다양한 결제 방법이 제공되기 때문에 당황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교통카드 없이도 버스를 탈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 (NFC 결제)

스마트폰이 있다면 가장 편리한 방법은 모바일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 사용 가능한 앱

  • 삼성페이, 애플페이 (후불교통카드 등록 시 사용 가능)
  • 카카오페이 (안드로이드만 지원, iOS 미지원)
  • 네이버페이 (일부 카드사만 지원)
  • 모바일 티머니 앱 (티머니 카드 없이도 사용 가능)

❌ 아이폰에서는 카카오페이 교통카드 사용 불가!

현재 카카오페이 교통카드는 iOS(아이폰)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이폰 사용자카카오페이가 아닌 애플페이, 모바일 티머니, 네이버페이 등의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 방법

  1. 해당 앱에서 교통카드를 등록합니다.
  2.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가까이 대면 자동 결제됩니다.
  3. NFC 기능이 꺼져 있다면 설정에서 활성화하세요.

📌 주의사항: 일부 구형 단말기에서는 인식이 잘되지 않을 수 있으니, 미리 설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현금 결제

교통카드 없이 버스를 타야 한다면 현금 결제도 가능합니다.

현금 결제 방법

  • 기사님께 정확한 금액(거스름돈 없이)을 내야 합니다.
  • 서울시 기준 요금:
    • 일반 버스: 1,500원 (성인 기준)
    • 좌석/광역버스: 2,500~3,000원
    • 마을버스: 1,200원

⚠️ 거스름돈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정확한 금액을 준비하세요!


3. 기후동행카드 또는 일회용 승차권 구매

🔹 기후동행카드란?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기권으로, 일정 금액을 내고 한 달 동안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구매 방법

  • 서울 지하철 1~8호선 고객안전실 (현금 구매 가능)
  • 지하철역 내 편의점 (현금 & 카드 결제 가능)
  • 충전은 지하철 충전 단말기에서 현금으로만 가능

🔹 일회용 승차권 구매

지하철역에서는 일회용 교통카드를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편의점이나 역사 내 무인 발매기를 통해 가능하며, 버스 환승이 되지 않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 교통카드 없을 때 한 번만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면, 일회용 승차권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4. QR코드 기반 모바일 교통카드 (일부 지원)

현재 서울에서는 QR코드 기반 모바일 교통카드를 버스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티머니GO, 카카오T 등의 앱에서 QR코드를 생성하여 지하철이나 일부 교통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QR코드 결제 가능 여부

  • 버스: ❌ (현재 지원하지 않음)
  • 지하철: ⭕ 일부 역에서 가능
  • 택시: ⭕ 카카오T 등 일부 앱 지원

🚀 향후 서울시에서 QR코드 결제를 지원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확인하세요!


결론: 교통카드 없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방법 편리성 준비물 비고
모바일 교통카드 ⭐⭐⭐⭐⭐ NFC 지원 스마트폰 가장 추천하는 방법
현금 결제 ⭐⭐⭐ 현금 거스름돈 없음
기후동행카드 ⭐⭐⭐⭐ 사전 구매 필요 정기권 개념
QR코드 - 현재 서울 버스 미지원

결론: 교통카드 없을 때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모바일 교통카드(NFC 결제)**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현금을 준비하거나, 사전에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 교통카드 없이도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았으니, 당황하지 말고 위 방법을 활용해보세요! 😊


📢 추가 TIP

  • 서울시 대중교통 정책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려면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또는 티머니 공식 앱을 참고하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