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최근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는 싱크홀(땅꺼짐) 사고로 인해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지름 20m 규모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여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매일 다니는 도로 밑... 이런 싱크홀이 생긴다고 생각하면 너무 무서운데요.
집값 문제로 서울시에서 공개해주지 않은 싱크홀 위험지역.
이러한 상황에서 시민들이 직접 제작한 싱크홀 위험지역 지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지도는 2018년부터 2024년까지 발생한 약 1,400건의 지반침하 사고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지역별 사고 이력과 원인, 규모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싱크홀 위험지역 지도 확인하기
싱크홀지도
- 시민들이 직접 제작한 지도 서비스로, 전국의 싱크홀 발생 위치를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 지도에서 각 사고 지점을 클릭하면 발생 시기, 원인, 규모 등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느 날, 땅이 꺼졌다
- 윤신영 작가가 제작한 전국 싱크홀 지도입니다. 국토안전관리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2018년부터 2025년 3월까지 발생한 약 1,400건의 지반침하 사고를 정리한 지도입니다.
- 사고의 시기, 원인, 규모, 피해 정도 등을 연도별·지역별로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 지도는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거주지나 관심 지역을 검색하여 해당 지역의 싱크홀 발생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계절별 발생 추이와 주요 원인 분석 등 다양한 통계 정보도 함께 제공되어 시민들이 지반침하 위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위 링크를 통해 전국의 싱크홀 발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도에서 각 사고 지점을 클릭하면 발생 시기, 원인, 규모 등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을 시민이 해주니 너무 감사할 따름입니다.
728x90
📍 서울시 싱크홀 고위험 지역
서울시는 2023년 지반침하 우려가 있는 50곳을 고위험지역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이 중 강남구 압구정동을 지나는 언주로와 선릉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지반이 약하고 지하수가 많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싱크홀 발생 시 대처 방법
- 안전 거리 확보: 싱크홀 주변은 추가 붕괴 위험이 있으므로 최소 20~30m 이상 떨어져야 합니다.
- 즉시 신고: 119(소방), 120(지자체), 또는 112(경찰)로 즉시 신고합니다.
- 현장 접근 금지: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경우에도 멀리서 안전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 도로 이상 징후 주의: 도로가 갑자기 울퉁불퉁해졌다면 싱크홀 전조현상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싱크홀 사고는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평소에 내 주변의 위험지역을 확인하고 대처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지도를 활용하여 우리 동네의 지반 안전 상태를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안전이 제일입니다!
728x90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른쪽 갈비뼈 아래 통증, 어떤 원인일까요? (0) | 2025.04.25 |
---|---|
왼쪽 갈비뼈 아래 통증, 어떤 문제일까요? (0) | 2025.04.24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부터 자격까지 완벽정리(개인사업자) (0) | 2025.04.20 |
틱톡 라이트 소원꽃 이벤트, 진짜 돈 되는 기회일까? 사기설까지 총정리! (0) | 2025.04.19 |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 공휴일 될까? (1) | 2025.04.07 |